전기·전자 회로 설계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합니다.
“CLR(한류저항기), 도대체 몇 옴짜리를 써야 하지?”
막상 계산하려니 수식은 복잡하고, 인터넷 자료는 너무 추상적이죠.
그래서 오늘은 한류저항기(Current Limit Resistor) 선정 계산법을 실무 기준으로
쉽고, 현실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한류저항기 선정, 왜 중요할까요?
CLR은 돌입전류를 제어해 회로와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죠.
하지만 너무 높은 저항값을 고르면 기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너무 낮으면 전류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 예) 콘덴서 충전 회로에서 저항이 작으면 전류가 몰려 퓨즈가 나가고,
LED 회로에서는 밝기가 이상하거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어요.
🔢 본격 계산: 한류저항기 선정 공식
✔️ Step 1. 돌입전류(I_inrush) 추정
돌입전류는 회로의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정격 전류의 5~10배 정도로 추정합니다.
예) 회로 정격전류가 1A라면 돌입전류는 5A~10A 수준
✔️ Step 2. 원하는 제한 전류(I_limit) 결정
돌입전류를 어느 수준까지 제한할 것인지 정합니다.
보통 기기 허용 전류의 2배 정도로 설정합니다.
✔️ Step 3. 저항값 계산 (옴, Ω)
공식
R=VIlimitR = \frac{V}{I_{\text{limit}}}
R: 필요한 저항값(Ω)
V: 회로의 입력 전압(V)
I_limit: 제한하고자 하는 전류(A)
📌 예시
R=2205=44ΩR = \frac{220}{5} = 44 \Omega
입력 전압 220V, 제한 전류 5A라면
단, AC 회로나 콘덴서 회로에서는 피크전압 및 파형 고려가 필요해
안전 계수를 1.2~1.5배 곱해서 저항값을 보정합니다.
✔️ Step 4. 정격 전력(W) 계산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발열을 견디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공식
P=I2×RP = I^2 \times R
P: 정격 전력(W)
I: 제한 전류(A)
R: 계산된 저항값(Ω)
예시: I = 5A, R = 44Ω
P=52×44=1100WP = 5^2 \times 44 = 1100W
실무에선 여유를 두고 1.5~2배의 정격 전력을 선택하는 게 안전합니다.
이 경우 1100W × 1.5 = 1650W 이상의 제품을 선택하셔야겠죠.
🔍 보정 팁: NTC 서미스터일 경우
NTC는 저항값이 초기엔 높고 온도가 오르면 낮아지는 특성이 있어
정적인 저항값 계산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제조사 Datasheet의 “Initial Resistance at 25°C” 기준으로 계산 후,
회로 특성에 따라 온도 변화 곡선을 검토하세요.
⚠️ 주의할 점
발열 체크는 필수! 설치 공간과 방열 대책을 고려해야 합니다.
**직렬 연결된 부품(예: 콘덴서, 트랜스)**도 돌입전류를 키우는 요소이므로 반드시 확인
회로 해석 시 시뮬레이션 툴(PSpice 등) 사용을 추천합니다.
🧑🔧 실무자의 체크리스트
정격 전압 | 회로 최대 전압 이상으로 설정 |
제한 전류 | 기기 허용 전류 기준으로 설정 |
저항값 | 계산 후 10~20% 여유를 둠 |
정격 전력 | 발열 고려해 1.5~2배 이상 |
설치 환경 | 환기, 방열판, 공간 여유 확인 |
✅ 계산은 어렵지 않습니다
한류저항기 CLR 선정,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가지 기본 공식만 알면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과하지 않게, 부족하지 않게"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죠.
앞으로 회로 설계 시, 위 계산법을 기준으로 자신 있게 선택해보세요!
👉 다음 글에선 각 용도별 CLR 추천 모델에 대해 소개드릴게요. 구독 또는 즐겨찾기 해주세요 :)
❓ Q&A
Q1. 계산값보다 높은 저항을 써도 되나요?
A1. 너무 높으면 회로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터가 기동하지 않거나, 전압 강하로 동작 불량이 생길 수 있어요.
Q2. 저항값이 중간에 바뀌는 경우도 있나요?
A2. 네, NTC 서미스터 방식 CLR은 온도에 따라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 경우 초기 저항값 기준으로만 판단하면 안 됩니다.
Q3. DC 회로와 AC 회로에서 계산 방식이 다르나요?
A3. 기본 원리는 같지만, AC 회로에서는 피크전압 및 위상 차를 고려해야 하므로
여유치를 더 크게 잡는 게 일반적입니다.
Q4. 작은 회로나 LED 조명에도 적용할 수 있나요?
A4. 물론입니다. 특히 LED는 과전류에 민감하기 때문에,
소형 CLR 또는 전류 제한 IC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Q5. 시뮬레이션 없이 감으로 선택해도 될까요?
A5. 단순 회로는 감으로도 가능하나,
고가 장비나 고전력 회로는 반드시 계산과 검증을 거쳐야 합니다.
시간은 좀 더 걸리더라도, 고장 비용을 생각하면 훨씬 저렴하죠.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기 설비의 안전을 지키는 작은 히어로, SPD(Surge Protector Device)란? (0) | 2025.04.14 |
---|---|
⚡GVT 3차 결선에 들어가는 CLR, 왜 중요할까요? 중성점 접지 회로의 핵심 안전장치 (0) | 2025.04.11 |
🔌 갑작스러운 전류 폭주, 괜찮으세요? 한류저항기 CLR(Current Limit Resistor)이 필요한 이유 (1) | 2025.04.11 |
인버터 입력단·출력단 필터, 왜 꼭 설치해야 할까? (0) | 2025.04.11 |
📐 전기설계 및 도면 관련 용어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