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기정보40

⚙ ESS 전기설계, 효율성과 안전성을 모두 잡는 기술의 핵심 “에너지 저장도 결국은 ‘설계’가 완성합니다”ESS(Energy Storage System)는 이제 산업 전반에 없어서는 안 될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는 물론, 공장, 물류센터, 데이터센터, 아파트 단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되고 있죠.하지만 ESS의 성능과 안정성은 어떻게 설계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전기설계는 단순한 회로 그리기 그 이상, 시스템 전체의 효율, 수명, 안전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영역입니다.ESS 전기설계, 무엇이 중요한가요?🔌 1. ESS 전기설계의 구성 요소ESS 설계는 단순히 배터리만 배치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의 구성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구성 요소역할배터리 (Battery Rack)에너지를 저장하는 핵심 장치PCS (Power C.. 2025. 5. 17.
⚡ ESS란 무엇인가요? – 전력의 미래를 저장하는 기술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면, 세상이 달라집니다"우리가 쓰는 전기는 대부분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동시에 소비됩니다. 하지만 만약 전기를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다면 어떨까요?바로 이런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ESS,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입니다.최근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전기차 충전 수요, 피크 전력 대응 등의 이슈로 인해 ESS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죠.이 글에서는 ESS의 개념부터 원리, 활용 분야,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ESS, 어떻게 작동하고 어디에 쓰일까요?🔋 ESS의 기본 개념ESS는 간단히 말해 전기를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공급하는 시스템입니다. 배터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5. 5. 15.
⚡ 아몰펄스변압기 vs 하이브리드변압기, 당신의 선택은? – 고효율 전력 기술의 진화 “전력 손실, 더는 감수하지 않아도 됩니다”전기 요금이 점점 부담스러워지는 요즘, 에너지 효율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특히 공장, 대형 상가, 에너지 다소비 건물에서 전력 손실을 줄이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아몰펄스변압기와 하이브리드변압기입니다.전통적인 변압기에서 벗어나, 고효율, 저손실, 친환경이라는 키워드를 모두 만족시키는 차세대 변압기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아몰펄스변압기 vs 하이브리드변압기 – 기술의 차이점은?🔍 아몰펄스변압기란?‘아몰펄스’는 ‘아몰퍼스(amorphous)’와 ‘펄스(pulse)’의 합성어로, 비정질 금속 소재를 이용한 변압기입니다.핵심 소재: 아몰퍼스 합금(비정질 구조)장점:일반 변압기보다 최대 70% 이상 철손 .. 2025. 5. 14.
✅ 상시여자와 순시여자 방식 정리 🟠 우리는 왜 ‘여자 방식’을 알아야 할까요?전기 설비를 공부하다 보면 꼭 마주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상시여자’와 ‘순시여자’ 방식입니다. 생소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 개념은 전기 제어, 배선 설계, 안전 설비까지 모든 전기공학의 근간을 이룹니다.처음 이 용어를 접했을 때 저는 “왜 여자(勵磁)라는 표현을 쓸까?” 하는 의문부터 시작했어요. 그리고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했을 때, 설계의 안정성과 효율성이라는 퍼즐 조각이 맞춰졌죠.이 글에서는 전기 설비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상시여자와 순시여자 방식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상시여자(常時励磁, Constant Excitation) 방식이란?항상 여자(전류)를 인가해두는 방식말 그.. 2025. 5. 9.
CTTS, ACB 2대로 구성할 경우 보호계전기 적용 유무는 어떻게? 계전기 설정값은? ✅ 개요CTTS(Closed Transition Transfer Switch): 한전과 발전기 간의 전력 전환 시 순간적으로 병렬 운전이 발생하는 전환 방식. 무정전 전환을 위해 두 전원(A, B)을 짧은 시간 병렬 연결하여 전환함.ACB는 각 전원(한전, 발전기)에 설치하여 전원 투입 및 차단을 수행함.1. 🔍 ACB 자체 보호계전기 적용이 필요한가?✔ 기본적으로 "필요함"→ 전력설비 보호 및 사고시 차단 기능은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발전기 측은 자체 보호가 매우 중요합니다.2. 🔍 각 ACB에 보호계전기 적용 여부ACB 위치보호계전기 적용 필요 여부규정 및 사유① 한전 측 ACB✅ 권장 (또는 필요시 적용)- 한전계통은 보호구간이 명확하므로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나, CTTS 병렬 시 고장전류.. 2025. 4. 30.
🔌 [전문가 가이드] IEC 60364-5-52 규정에 입각한 전선 굵기 선정 방법 🔹 “전선 굵기,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건축 공사 현장이나 전기 설비 설계 중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전선 굵기 제대로 잡았어?”**입니다.이 간단한 질문 속에는 안전, 효율, 그리고 비용까지 연결된 중요한 의미가 숨어있죠.특히 국제 표준인 IEC 60364-5-52 규정은 이러한 전선 굵기 선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하지만 막상 이 규정을 접하면, “도대체 어떤 굵기를 선택해야 하지?”라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죠.오늘은 전기 설비 설계나 시공에 있어 필수적인 IEC 60364-5-52에 따른 전선 굵기 선정 방법을실무자의 관점에서 쉽게 풀어드릴게요. 전기초보자도, 실무자도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입니다.⚙️ IEC 60364-5-52에 따른 전선 굵기 선정법, 완벽 가이드✅ 1. .. 2025. 4. 30.
IEC60364-5-52 해설: 케이블 설치를 위한 필수 가이드 전기 설계를 하다 보면, "이 케이블이 과연 이 부하를 안전하게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수도 없이 하게 됩니다. 특히 복잡한 건물이나 대규모 산업 시설의 경우, 부적절한 케이블 선택은 단순한 고장을 넘어, 심각한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지요.이때 꼭 참고해야 할 국제 표준이 바로 IEC60364-5-52입니다. 이 규격은 케이블 및 배선 시스템의 설치 방법과 허용 전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주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 설계를 돕습니다.오늘은 이 중요한 문서인 IEC60364-5-52 해설을 쉽고 친근한 언어로 풀어드릴게요. 끝까지 읽으시면 케이블 선정에 대한 고민이 훨씬 줄어들 겁니다. 🌟 IEC60364-5-52란 무엇인가?IEC60364-5-52는 "저전압 전기 설치"를 다루는 IEC6.. 2025. 4. 29.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왜 꼭 알아야 할까요? 전기 설비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것은 바로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입니다.단순히 두꺼운 전선을 사용한다고 해서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적정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과열, 화재 같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죠.저도 처음 전기 관련 작업을 배울 때,"전선이 굵으면 다 되는 거 아냐?"라는 단순한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하지만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서야,진짜 '안전'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그럼 오늘은"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이 왜 중요한지,그리고 어떻게 계산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이란?간단히 말해, 특정 전선(케이블)이 안전하게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의미합니다.이 기준을 넘어서면.. 2025. 4. 29.
✅정류기 용량, 어떻게 계산할까? 실무에서 꼭 필요한 선정 기준 총정리! 🟠 전기 설비의 '심장', 정류기 용량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정류기는 마치 전기 설비의 심장처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비에 적절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이죠.하지만 정류기의 ‘용량 선정’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습니다.너무 작게 잡으면 과부하로 장비에 손상이 갈 수 있고, 너무 크게 잡으면 비용과 공간 낭비가 생기기 마련이죠.정류기 용량 선정 방법,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과 함께, 꼭 고려해야 할 팁을 정리해보았어요.🟠 정류기 용량, 이렇게 선정하세요1. 기본 개념부터 짚고 가기정류기(rectifier)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해주는 장치입니다.용량(출력 전력)은 **"전압 × 전류"**의 곱으.. 2025. 4.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