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기본 개념 정리
구분설명
상간 전압(Line-to-Line Voltage) | 3상 회로에서 상과 상 사이의 전압 (예: 380V, 22.9kV 등) |
대지 전압(Line-to-Ground Voltage) | 상과 대지 간 전압. 상간전압 ÷ √3 (예: 380V → 220V) |
이격거리(Air Clearance) | 절연 파괴 없이 안전하게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두 도전부 사이에 유지해야 할 최소 거리 |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 절연물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는 누설전류 방지를 위한 거리 |
2. 전압별 이격거리 기준 (KEC, IEC, KS 기준 참고)
아래는 일반적인 KEC (대한전기협회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IEC 60664-1 기준에 따른 **공기 중 이격거리 기준(최소값)**입니다. 실외 또는 먼지, 습도 등 환경 조건이 나쁜 경우 더 강화된 기준 적용 필요합니다.
⚡ 공기 이격거리 (Air Clearance) 예시
상간전압대지전압최소 공기 이격거리 (mm)
300V 이하 | 170V 이하 | 5 mm |
600V 이하 | 340V 이하 | 10 mm |
1000V 이하 | 570V 이하 | 14 mm |
3.3kV | 약 1.9kV | 35~40 mm |
6.6kV | 약 3.8kV | 80~100 mm |
22.9kV | 약 13.2kV | 230~300 mm |
154kV | 약 89kV | 1000~1500 mm |
⚠️ 실내 설치/간섭 없는 환경 기준. 먼지, 습도, 염분 등 고려시 더 강화 필요
3. 환경 등급에 따른 고려
IEC 60664-1 및 KEC에 따라 **오염도(Pollution Degree)**와 **과전압 카테고리(Overvoltage Category)**에 따라 이격거리는 달라집니다.
- 오염도 1~4 : 내부 장비인지, 실외 설치인지에 따라 다름
- OVC I~IV : 전원계통 내 위치에 따라 절연 요구치 다름 (예: OVC IV는 전주, 옥외 등)
4. 적용 사례 예시
🏭 산업용 배전반 내부
- AC 380V 계통 : 상간 최소 10mm, 대지간 8~10mm
- AC 22.9kV 고압 반 : 상간 230mm 이상, 지지물 사이 300mm 이상
- 서지 보호, 아크 차폐판 등을 통해 보조 절연 구조 활용
🔌 케이블 트레이 설계
- 케이블 트레이 내 상간 간격은 최소 20~30mm 확보
- 고/저압 혼재 시 격벽 설치 또는 300mm 이상 이격
5. 참고 기준 문서
- KEC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편 공통사항, 제4편 전선 및 배선설비
- IEC 60664-1: Insulation coordination for equipment
- KS C IEC 60216, KS C IEC 60664-1
- 전기설계표준(한전, 발전사 등 내부 지침)
✅ 요약
구분상간 전압대지간 전압최소 이격 거리 (일반 조건 기준)
저압 | 380V | 220V | 8~10mm |
고압 | 6.6kV | 3.8kV | 80~100mm |
특고압 | 22.9kV | 13.2kV | 230~300mm |
✅ 특고압과 저압 간 이격거리 기준 (실내/실외 구분)
📌 기본 개념
구분설명
특고압 | 1kV 초과 ~ 66kV 이하 (22.9kV가 대표적) |
저압 | 1kV 이하 (AC 380/220V 포함) |
이격거리 | 상이한 전압 레벨 간 활선 간, 또는 활선과 노출도전성체 간 유지해야 할 최소 거리 |
⚡ 이격거리 기준 (KEC 및 전기안전공사, 한전 설계지침 기반)
실내 설치 기준 (KEC 전기설비기술기준 + 한전 예규 반영)
구분최소 이격거리
특고압(22.9kV) ↔ 저압(380V) | 600mm 이상 |
특고압 활선 ↔ 접지된 금속 구조물 | 300~400mm 이상 |
절연격벽 또는 차폐 구조가 있는 경우 | 200~300mm 가능 (제한 조건 하) |
단, 절연물 또는 차폐벽 설치 시에는 감면 가능, 하지만 감전·아크 발생 방지 구조가 입증되어야 함.
🌲 실외 설치 기준 (전주, 개폐기함, 옥외반 등)
구분최소 이격거리
특고압 ↔ 저압 배전선 | 1,000mm 이상 권장 |
특고압 활선 ↔ 구조물, 인접 활선 | 800~1200mm 이상 |
가공선로에서 특고 ↔ 저압 | 수직 간격 1.2m, 수평 간격 1m 이상 (한전 규정 기준) |
🧯 참고 기준 문서
- KEC 제1편 공통사항, 제4편 전선 및 배선설비
- 한전 배전설계기준서 (예: DS-EN-3001, 2023년판)
- 전기설비 기술기준 판단기준 (전기안전공사)
- KS C IEC 61936-1 (고압설비 설계 기준)
✅ 요약 표
설치 장소전압 구분최소 이격거리
실내 | 특고압 ↔ 저압 | 600mm 이상 |
실외 | 특고압 ↔ 저압 | 1000mm 이상 |
절연격벽 있음 | 특고압 ↔ 저압 | 200~300mm 허용 |
특고 ↔ 접지 구조물 | 특고압 ↔ 구조물 | 300~400mm 이상 |
📘 설계 팁
- **차폐벽(절연판, FRP 격벽 등)**을 설치하면 공간 절약 가능
- 패널 내부 배치 시, 저압부와 고압부 구획 분리 필수 (예: MCC vs 고압반)
- 전선관, 케이블트레이, 덕트 내 혼재 시 분리 구조 필요
728x90
반응형
LIST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ST(Solid State Trip Unit)란? (0) | 2025.05.18 |
---|---|
⚙ ESS 전기설계, 효율성과 안전성을 모두 잡는 기술의 핵심 (0) | 2025.05.17 |
⚡ ESS란 무엇인가요? – 전력의 미래를 저장하는 기술 (0) | 2025.05.15 |
⚡ 아몰펄스변압기 vs 하이브리드변압기, 당신의 선택은? – 고효율 전력 기술의 진화 (0) | 2025.05.14 |
✅ 상시여자와 순시여자 방식 정리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