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기기사준비4

✅ DOCGR과 67N의 차이점은? 사실 이 둘은 기능적으로 같은 것을 의미하지만, 표현 방식과 사용되는 맥락이 다릅니다. DOCGR 67N의미Directional Overcurrent Ground RelayANSI 기능 번호 (지락 방향 과전류 보호)성격명칭(Label) – 화면 표시용, 설정 메뉴에서 사용기능 코드(Function Code) – 회로도, 메뉴얼에서 사용사용 위치보호계전기 설정 화면, 계전기 내부 기능 명칭보호 계전기 블록도, ANSI 코드, 계통도 등예시“DOCGR 설정값을 20%로 조정”“67N 동작 시간은 0.3초로 설정”🎯 이해 포인트DOCGR은 **계전기의 .. 2025. 4. 23.
⚡ Y결선과 D결선 차이, 헷갈리지 말자! 🧩 서론 – 왜 결선 방식이 중요한가요? 전기 배선을 공부하다 보면, ‘왜 굳이 Y결선이니 D결선이니 복잡한 구조를 쓰지?’라는 궁금증이 들죠.하지만 알고 보면, 결선 방식에 따라 전압과 전류의 흐름이 달라지고,이는 설비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쳐요.특히 3상 교류 시스템에서는📌 어떤 기계를 쓸지,📌 어떤 용량의 전선을 써야 할지이런 판단이 결선 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개념은 정말 핵심 중의 핵심입니다. 🧠 본론 – Y결선과 D결선, 하나씩 찬찬히 비교해보자 1. 결선 구조부터 알아야 합니다✅ Y결선(별형, Star Connection)3개의 코일(권선)의 한쪽 끝을 모두 연결 → 중성점(N) 형성다른 쪽 끝은 각각 **상선(L1, L2, L3)**에 연결‘Y’ 모양 같다고 .. 2025. 4. 17.
🔌 상전압과 선간전압 차이, 진짜 뭐가 다른 걸까? 헷갈릴 수밖에 없는 전기 용어들 전기를 공부하면서 처음 막히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용어예요.“상전압이 뭐지? 선간전압은 또 뭐고?”용어 자체가 비슷하고, 실제로 수치도 엇비슷해서 혼동하기 딱 좋은 구조죠.하지만 이 둘은 전기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개념입니다.특히 3상 교류 시스템에서 상전압과 선간전압을 헷갈리면 전압 계산이나 전력 계산에서 큰 오류가 생길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상전압과 선간전압의 정의, 차이점, 실제 적용 예시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상전압과 선간전압, 이렇게 다릅니다1. 정의부터 확실히 이해하자상전압 (Phase Voltage): 한 개의 상(L)과 중성선(N) 사이의 전압예) VₐN, VᵦN, V𝚌N → 각각의 상과 중성선 간 전압🔹 보통 주거용 건물에서 220.. 2025. 4. 17.
전기설계 용어 완벽 정리: 전기초보도 이해하는 핵심 개념 전기설계를 처음 접할 때 가장 먼저 느끼는 벽은 바로 복잡한 용어들입니다. 낯선 기호와 약어, 한글인데도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는 단어들... 이 모든 게 마치 또 하나의 언어처럼 느껴지죠.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은 전기설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수 용어들을 쉽고 친절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전기기사나 산업기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실무에 막 입문하신 전기인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전기설계 용어, 왜 중요한가요?전기설계는 단순히 선을 잇는 작업이 아닙니다. 회로를 어떻게 구성할지, 부하에 맞는 설비는 무엇인지, 그리고 안전 기준은 어떻게 적용할지를 꼼꼼하게 계획하는 기술과 지식의 총체입니다.이 과정에서 쓰이는 전문 용어는 설계도면을 이해하고, 기술자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꼭 필요합.. 2025. 4. 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