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기정보42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왜 꼭 알아야 할까요? 전기 설비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것은 바로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입니다.단순히 두꺼운 전선을 사용한다고 해서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적정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과열, 화재 같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죠.저도 처음 전기 관련 작업을 배울 때,"전선이 굵으면 다 되는 거 아냐?"라는 단순한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하지만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서야,진짜 '안전'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그럼 오늘은"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이 왜 중요한지,그리고 어떻게 계산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이란?간단히 말해, 특정 전선(케이블)이 안전하게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의미합니다.이 기준을 넘어서면.. 2025. 4. 29. ✅정류기 용량, 어떻게 계산할까? 실무에서 꼭 필요한 선정 기준 총정리! 🟠 전기 설비의 '심장', 정류기 용량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정류기는 마치 전기 설비의 심장처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비에 적절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이죠.하지만 정류기의 ‘용량 선정’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습니다.너무 작게 잡으면 과부하로 장비에 손상이 갈 수 있고, 너무 크게 잡으면 비용과 공간 낭비가 생기기 마련이죠.정류기 용량 선정 방법,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과 함께, 꼭 고려해야 할 팁을 정리해보았어요.🟠 정류기 용량, 이렇게 선정하세요1. 기본 개념부터 짚고 가기정류기(rectifier)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해주는 장치입니다.용량(출력 전력)은 **"전압 × 전류"**의 곱으.. 2025. 4. 25. 🔌 전기 안전의 숨은 영웅, 접지란 무엇일까?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가전제품들.그런데 혹시 전자제품을 만질 때 “찌릿”한 경험, 있으셨나요?그렇다면 **‘접지’**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매우 강력한 에너지죠.이 강한 에너지를 안전하게 흐르게 하고, 사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접지’입니다.가정, 사무실, 공장... 전기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반드시 접지를 체크해야 해요. ⚙️ 접지는 왜 중요할까? 전기 안전과 성능의 필수 조건1. 감전 사고 예방기기에 누전이 생기면 전류가 외부로 흐를 수 있어요.접지는 그 전류를 땅으로 흘려보내어 사람이 감전되는 걸 막아줍니다.특히 금속 재질의 가전제품은 더욱 중요하죠.2. 기기 보호 및 성능 안정화접지를 하면 전기 신호의 간섭이 줄어들고, 기기 오작동이 현저히 줄.. 2025. 4. 24. ✅ DOCGR과 67N의 차이점은? 사실 이 둘은 기능적으로 같은 것을 의미하지만, 표현 방식과 사용되는 맥락이 다릅니다. DOCGR 67N의미Directional Overcurrent Ground RelayANSI 기능 번호 (지락 방향 과전류 보호)성격명칭(Label) – 화면 표시용, 설정 메뉴에서 사용기능 코드(Function Code) – 회로도, 메뉴얼에서 사용사용 위치보호계전기 설정 화면, 계전기 내부 기능 명칭보호 계전기 블록도, ANSI 코드, 계통도 등예시“DOCGR 설정값을 20%로 조정”“67N 동작 시간은 0.3초로 설정”🎯 이해 포인트DOCGR은 **계전기의 .. 2025. 4. 23. ✅ KEC 규정 용량별 모터기동 방법: 꼭 알아야 할 전기 설비의 핵심 포인트! "모터 기동 방식, 어떻게 선택하시나요?" 전기 설비를 다루다 보면 가장 많이 마주치는 고민 중 하나가 바로 모터 기동 방식에 대한 선택입니다.특히 **KEC 규정(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용량별로 달라지는 기동 방법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안전한 시공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설비 비용까지 줄일 수 있죠.과거에는 단순히 스타트 버튼만 누르면 끝나는 줄 알았던 모터 기동이,이제는 용량, 설비 조건, 규정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일이 되어버렸습니다.이 글에서는 KEC 기준에 따라 용량별 모터기동 방식을 깔끔하게 정리하고,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팁까지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KEC 규정으로 살펴보는 모터기동 방식 총정리 🔹 1. KEC 규정에서 말하는 기준은? 2021년부터 적용된 **KEC(한.. 2025. 4. 22. ⚡ “과전류정수 계산법, 이렇게 하면 쉽습니다” 🧠 계산 어렵게 느껴지셨나요?과전류정수, 개념은 얼핏 알겠는데 직접 계산하려니 막막하시죠?설계도면 검토 중, 감리 점검 중, 또는 기사시험 준비할 때 이 계산법은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하지만 걱정 마세요!기초 공식만 알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고, 계산 결과로 적정성 판단까지 할 수 있답니다.오늘은 과전류정수 계산법을 가장 쉽게,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본론: 과전류정수 계산법 - 공식부터 적용까지✅ 1. 과전류정수란?정의:과전류정수 = 보호장치(차단기)의 정정값 ÷ 부하전류즉, 부하전류에 비해 얼마나 큰 전류에서 차단기가 동작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2. 계산 공식🔹 과전류정수 = 정정값(Iₛ) / 부하전류(Iₗ)항목설명Iₛ (정정값)차단기(또는 계전기)의 설정 전류Iₗ (부하전.. 2025. 4. 22. ⚡ “과전류정수 검토 방법” 🔍 왜 과전류정수 검토가 중요할까요? 전기설계나 수변전 설비 검토를 하다 보면 가장 기초이자 중요한 부분이 바로 과전류정수입니다.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이걸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검토해야 하지?"라는 막막함이 생기기 마련이죠.과전류정수는 단순히 수치를 맞추는 게 아니라, 보호계전기의 선택, 배선의 허용전류,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꼼꼼한 검토가 필요합니다.오늘은 실무 기준에 따라 과전류정수 검토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볼게요.전기 설계와 감리를 하는 분들, 또는 기사 시험 준비 중인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과전류정수 검토, 이렇게 하면 됩니다 1. 과전류정수란?과전류정수란?회로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을 기준으로, 차단기나 퓨즈 등의 보호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 .. 2025. 4. 21. 🔌 CT(변류기) 2차측 부담 계산하는 방법 ✅ 서론: CT부담, 왜 계산해야 하나요?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는 고전류를 저전류로 변환해 계측기, 보호계전기 등과 연결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CT의 2차측(Secondary side)에 걸리는 부담(Burden), 즉 부하 임피던스의 합계입니다.이 부담값이 CT의 정격부담(Burden Rating)을 초과하면?정확한 계측이 안 되고보호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으며장기적으로는 설비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CT 2차측 부담 계산은 전기 설계와 운용에서 아주 중요한 기본기입니다.이제, 실제 계산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본론: CT 2차측 부담 계산 3단계1️⃣ CT 2차측에 연결된 모든 구성 요소 확인CT의 2차측에는 보통 다음과 같.. 2025. 4. 18. ⚡ 3상 전류 계산법 – 헷갈리지 않게 완벽 정리 🧭 서론 – 왜 3상 전류 계산이 어려울까?전압은 눈에 보이는 숫자로 측정하기 쉬운데,전류는 결선 방식, 부하 상태, 위상 차이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게 느껴져요.게다가 3상 교류는 단상과는 달리 각 상 간의 위상이 120도씩 차이 나기 때문에,단순 덧셈이 아닌 벡터 개념이 필요하죠.하지만 걱정 마세요!이번 글에선 Y결선, D결선 별로 공식 정리하고,직관적으로 외우는 팁과 실제 예제 계산까지 알려드릴게요 🔧🔍 본론 – 결선 방식별로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1. Y결선(별형 결선) – 전압과 전류가 ‘같은 쪽’에서 차이 남전압 관계:VL (선간전압) = √3 × VPh (상전압)전류 관계:IL = IPh→ 선전류와 상전류가 같다!✅ 전력 공식 (삼상 전력)P = √3 × VL × IL × c.. 2025. 4. 17.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