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보호계전기4

⚡ “과전류정수 검토 방법” 🔍 왜 과전류정수 검토가 중요할까요? 전기설계나 수변전 설비 검토를 하다 보면 가장 기초이자 중요한 부분이 바로 과전류정수입니다.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이걸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검토해야 하지?"라는 막막함이 생기기 마련이죠.과전류정수는 단순히 수치를 맞추는 게 아니라, 보호계전기의 선택, 배선의 허용전류,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꼼꼼한 검토가 필요합니다.오늘은 실무 기준에 따라 과전류정수 검토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볼게요.전기 설계와 감리를 하는 분들, 또는 기사 시험 준비 중인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과전류정수 검토, 이렇게 하면 됩니다 1. 과전류정수란?과전류정수란?회로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을 기준으로, 차단기나 퓨즈 등의 보호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 .. 2025. 4. 21.
🔌 CT(변류기) 2차측 부담 계산하는 방법 ✅ 서론: CT부담, 왜 계산해야 하나요?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는 고전류를 저전류로 변환해 계측기, 보호계전기 등과 연결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CT의 2차측(Secondary side)에 걸리는 부담(Burden), 즉 부하 임피던스의 합계입니다.이 부담값이 CT의 정격부담(Burden Rating)을 초과하면?정확한 계측이 안 되고보호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으며장기적으로는 설비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CT 2차측 부담 계산은 전기 설계와 운용에서 아주 중요한 기본기입니다.이제, 실제 계산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본론: CT 2차측 부담 계산 3단계1️⃣ CT 2차측에 연결된 모든 구성 요소 확인CT의 2차측에는 보통 다음과 같.. 2025. 4. 18.
⚡ GVT (Gas Insulated Voltage Transformer) 란? GVT는 **고전압 계통에서 전압을 측정하거나 계전기 보호용으로 사용하는 전압 변성기(VT)**입니다.특히 가스절연방식(GIS)에 설치되어, 공간을 줄이고 절연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질문 핵심:6.6kV 3상 3선 계통에서 GVT 1차측 전압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 답변 요약:GVT 1차 정격전압은 “선간전압” 기준으로 설정합니다.즉, 1차측 정격전압은 6.6kV입니다.🧾 왜 선간전압을 기준으로 하나요?3상 3선 계통은 중성점(N)이 없기 때문에,**상전압(Vph)**이 아닌 선간전압(Vll) 기준으로 모든 계측·보호 장비를 설계해야 합니다.GVT의 1차는 일반적으로 선과 선 사이(L-L)에 연결되므로,GVT의 정격 1차전압은 당연히 선간전압 기준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예시: 6.. 2025. 4. 10.
OCR(Over Current Relay), OCGR(Over Current Ground Relay) 차이점. [정의 및 역할, 동작원리, 적용예시] 공유~!!! 보호계전기에서 OCR(과전류 계전기)과 OCGR(지락과전류 계전기)는 전력 설비 보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호장치로, 역할과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두 계전기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OCR (Over Current Relay, 과전류 계전기)▶️ 정의 및 역할OCR은 전력 계통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거나 경고를 발생시키는 보호 계전기입니다. 즉, 회로의 과부하(Overload) 또는 단락 사고(Short Circuit) 발생 시 이를 탐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동작 원리설정된 정격 전류를 초과하면 일정한 시간 후에 동작하거나, 즉시 동작하여 차단기를 개방합니다.보통 시한(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동작) 또는 순시(즉시 동작).. 2025. 3. 2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