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기안전6

🔌 [전문가 가이드] IEC 60364-5-52 규정에 입각한 전선 굵기 선정 방법 🔹 “전선 굵기,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건축 공사 현장이나 전기 설비 설계 중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전선 굵기 제대로 잡았어?”**입니다.이 간단한 질문 속에는 안전, 효율, 그리고 비용까지 연결된 중요한 의미가 숨어있죠.특히 국제 표준인 IEC 60364-5-52 규정은 이러한 전선 굵기 선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하지만 막상 이 규정을 접하면, “도대체 어떤 굵기를 선택해야 하지?”라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죠.오늘은 전기 설비 설계나 시공에 있어 필수적인 IEC 60364-5-52에 따른 전선 굵기 선정 방법을실무자의 관점에서 쉽게 풀어드릴게요. 전기초보자도, 실무자도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입니다.⚙️ IEC 60364-5-52에 따른 전선 굵기 선정법, 완벽 가이드✅ 1. .. 2025. 4. 30.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왜 꼭 알아야 할까요? 전기 설비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것은 바로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입니다.단순히 두꺼운 전선을 사용한다고 해서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적정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과열, 화재 같은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죠.저도 처음 전기 관련 작업을 배울 때,"전선이 굵으면 다 되는 거 아냐?"라는 단순한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하지만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서야,진짜 '안전'이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그럼 오늘은"케이블 허용전류 기준" 이 왜 중요한지,그리고 어떻게 계산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케이블 허용전류 기준이란?간단히 말해, 특정 전선(케이블)이 안전하게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의미합니다.이 기준을 넘어서면.. 2025. 4. 29.
🔌 전기 안전의 숨은 영웅, 접지란 무엇일까?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가전제품들.그런데 혹시 전자제품을 만질 때 “찌릿”한 경험, 있으셨나요?그렇다면 **‘접지’**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전기는 보이지 않지만 매우 강력한 에너지죠.이 강한 에너지를 안전하게 흐르게 하고, 사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접지’입니다.가정, 사무실, 공장... 전기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반드시 접지를 체크해야 해요. ⚙️ 접지는 왜 중요할까? 전기 안전과 성능의 필수 조건1. 감전 사고 예방기기에 누전이 생기면 전류가 외부로 흐를 수 있어요.접지는 그 전류를 땅으로 흘려보내어 사람이 감전되는 걸 막아줍니다.특히 금속 재질의 가전제품은 더욱 중요하죠.2. 기기 보호 및 성능 안정화접지를 하면 전기 신호의 간섭이 줄어들고, 기기 오작동이 현저히 줄.. 2025. 4. 24.
KEC 규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KEC 규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전기 설비를 다루는 업무를 하다 보면 "KEC 규정에 맞춰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하지만 막상 "KEC가 정확히 뭔가요?"라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분들도 계실 거예요.KEC는 Korea Electrical Code, 즉 대한민국 전기설비 규정을 의미합니다.국내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정한 중요한 기준인데요,2021년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과거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을 대체하고 있습니다.전기 관련 업계에 종사한다면 KEC 규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KEC 규정의 개념부터 핵심 내용, 실무 적용 팁까지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KEC 규정,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1. KEC 규정이란 무엇.. 2025. 4. 15.
⚡ 전기 설비의 안전을 지키는 작은 히어로, SPD(Surge Protector Device)란? 순간의 과전압, 당신의 장비를 노린다 “갑자기 전원이 나가더니, 기계가 아예 작동을 안 해요…”설비를 관리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이런 상황.알고 보면 그 원인은 ‘서지(Surge)’일 수 있습니다.특히 낙뢰, 고장, 갑작스러운 전원 복구 등 외부 충격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은민감한 전자기기를 순식간에 손상시킬 수 있어요.이런 위협으로부터 장비를 지켜주는 든든한 파수꾼이 바로SPD(Surge Protector Device) 입니다. SPD, 선택 아닌 필수입니다1. SPD란 무엇인가요?SPD는 과전압, 즉 서지 전압(surge voltage) 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빠르게 우회시켜 전기 설비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주로 전기 배전반, 통신 시스템, 태양광 설비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며,예기치 못한 .. 2025. 4. 14.
⚡ 47 (Phase Open Relay)란? 전기 사고를 막는 똑똑한 보호 장치! “왜 갑자기 기계가 멈췄지?”“전원은 들어왔는데 작동이 안 돼요…”이런 경험, 공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종종 생깁니다. 대부분은 3상 전력의 한 선이 끊어졌을 때, 즉 상 손실(Phase Loss) 때문에 발생하는데요.이때 꼭 필요한 게 바로 Phase Open Relay입니다.이 장치는 전기 설비의 무음의 수호자 같은 존재죠.오늘은 Phase Open Relay의 원리와 필요성, 설치 팁까지 알려드릴게요.  1. Phase Open Relay란 무엇인가요? Phase Open Relay는3상 전원 중 하나의 선(Phase)이 끊어지거나, 불균형이 발생했을 때이를 감지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릴레이입니다.다상 전원을 사용하는 기계에 필수적인 안전 장치보통 모터, 공조기, 인버터 같은 설비에 사용됨 2. 왜 중.. 2025. 4. 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