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적 (제1조)
전기설비의 안전 확보를 주된 목적으로 함
생명, 재산 보호와 공공의 안전 확보
전기설비가 안전하게 설계, 시공,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기준 제시
2. 적용 범위 (제2조)
대한민국 내의 모든 전기설비에 적용
전기설비의 설계, 시공, 감리, 유지관리 시 기준이 됨
주택, 상업시설, 산업용 전기설비, 임시설비 등 광범위하게 적용
3. 정의 (제3조)
KEC 전반에 걸쳐 사용하는 용어 정의 수록
예시:
전기설비: 전기의 생성, 변환, 수송, 분배, 사용에 관련된 기기나 회로
정격전압: 설비나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준 전압
4. 기본 원칙 (제4조)
전기설비는 다음의 기준을 만족해야 함:
정상 운전 시 안전성 | 사용자의 전기화재, 감전 등의 위험을 방지 |
고장 시 안전성 | 과전류, 누전, 고장아크 등 발생 시 보호장치가 동작하도록 설계 |
정상적인 기능 수행 | 전기설비가 본래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해야 함 |
전기충격 보호 | 직접접촉 및 간접접촉 모두에 대한 보호 대책 필요 |
열 영향 방지 | 과열, 불꽃 등이 주변 설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함 |
전자기 장애 방지 | 다른 설비에 전자기적 간섭을 주지 않도록 설계 필요 |
기계적 위험 방지 | 설비의 기계적 파손, 낙하물 위험 등 예방 |
5. 전기설비의 선정 및 시공 기준 (제5조)
전기기기 및 자재는 인증받은 것 사용
설치 위치, 환경조건에 적합한 설비 사용
온도, 습도, 먼지, 기계적 충격 등을 고려한 시공 필요
6. 보호 수단 (제6조)
감전 보호, 과전류 보호, 과전압 보호, 아크 보호 등 다양한 보호기준 적용
7. 표준 준수 및 기술 문서 (제7조)
관련 기술 기준 및 한국산업표준(KS), 국제표준(IEC) 등을 참고
시공 시 도면, 시방서, 계산서 등의 기술 문서 구비 필요
8. 점검 및 유지관리 (제8조)
전기설비는 정기적인 점검 및 검사 필요
유지보수 계획 수립 및 기록 보관 필수
✅ 요약 카드
목적 | 전기설비 안전 확보 및 생명·재산 보호 |
적용 | 대한민국 내 모든 전기설비 |
기준 | 정상·고장 시 안전성, 기능 유지, 감전·화재 보호 |
시공 | 인증 제품 사용, 환경 적합 시공 |
보호 | 감전, 과전류, 과전압, 아크 보호 등 |
유지관리 | 정기 점검, 기록 보존 |
🔐 KEC 제1편 공통사항 – 6. 보호 수단 상세 정리
1. ⚡ 감전 보호 (Electric Shock Protection)
목적 | 사람의 직접접촉 또는 간접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예방 |
방식 |
직접 접촉 보호:
- 절연(전선 피복)
- 방호 덮개, 차단장치 설치
- 접근 제한(예: 고소, 잠금장치 등)
간접 접촉 보호:
- 접지 시스템(PE)
- 차단 장치 사용 (누전차단기 RCD, 차단기 MCB 등)
- 등전위 본딩
📌 적용 예시:
욕실, 주방, 실외 전기설비에는 RCD 필수
금속 외함이 있는 기기 → 접지 및 차단장치 연계 필요
2. 🔥 과전류 보호 (Overcurrent Protection)
목적 | 과전류(과부하, 단락)에 의한 화재 및 기기 손상 방지 |
보호 방식 |
퓨즈: 일정 이상 전류 흐를 시 소손
차단기(MCCB, MCB): 정격 이상 전류 흐를 경우 자동 차단
과부하 보호 계전기(OCR): 장시간 과전류 감지 시 트립
📌 적용 예시:
분전반 회로 차단기
모터용 과부하 보호기
3. ⚡ 과전압 보호 (Overvoltage Protection)
목적 | 낙뢰, 개폐서지 등 순간적인 고전압으로부터 기기 보호 |
보호 방식 |
SPD (Surge Protective Device): 일정 전압 이상 시 전류를 우회시켜 설비 보호
접지 시스템과 병행 설계 필요
📌 적용 예시:
외부 통신선, 전원선 인입부
중계기, 제어반, 서버실 등 민감 장비 보호
4. ⚙️ 아크 보호 (Arc Fault Protection)
목적 | 절연 파괴, 노후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 아크(스파크)**로 인한 화재 예방 |
보호 방식 |
AFCI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아크 특성 전류 감지 시 차단
절연 감시 장치: 절연 저하를 조기에 인지
📌 적용 예시:
옛날 배선이 남아 있는 주택
전선 접속부 많거나 진동 많은 설비
5. 🔌 지락 보호 (Ground Fault Protection)
목적 | 누전 및 접지 오류 시 발생할 수 있는 감전, 화재 방지 |
보호 방식 |
누전차단기(RCD): 누설전류 감지 후 신속 차단
절연 감시 계전기: 절연 저하 모니터링
📌 적용 예시:
지중 매설 배선, 수변 환경, IT 계통 배전
6. 💥 단락 보호 (Short Circuit Protection)
목적 | 상간 단락, 상-접지 단락 등으로 인한 과전류 폭발 사고 방지 |
보호 방식 |
퓨즈 및 차단기
고장전류 계산 후 적절한 차단기 선택 필요
📌 적용 예시:
변압기 2차측, 발전기 계통
✅ 보호 수단 요약 정리 카드
감전 보호 | RCD, 접지 | 생명 보호 | 욕실, 금속 외함 |
과전류 보호 | MCB, MCCB, OCR | 과열·화재 예방 | 분전반, 모터 |
과전압 보호 | SPD | 낙뢰·서지 보호 | 통신기기, 제어반 |
아크 보호 | AFCI | 노후선 화재 예방 | 주택, 기계실 |
지락 보호 | RCD, 감시계전기 | 누전 사고 예방 | 수변, 지중 배선 |
단락 보호 | 차단기, 퓨즈 | 대전류 사고 예방 | 주전원, 분기회로 |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기설계에서 전선의 규격선정,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4.16 |
---|---|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신고기간, 납부기한, 방법 (0) | 2025.04.16 |
KEC 규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0) | 2025.04.15 |
⚡ 전기 설비의 안전을 지키는 작은 히어로, SPD(Surge Protector Device)란? (0) | 2025.04.14 |
⚡GVT 3차 결선에 들어가는 CLR, 왜 중요할까요? 중성점 접지 회로의 핵심 안전장치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