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선으로 괜찮을까?”
전기설계를 처음 시작하거나 실무에서 막 전선 규격을 잡아야 하는 순간,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 부하에는 몇 mm² 전선을 써야 하지?”,
“이 길이에 이 전류면, 괜찮을까?”
전선 규격선정은 단순히 숫자만 맞춘다고 끝나지 않습니다. 부하, 전류, 길이, 전압강하, 안전 등 고려할 요소가 많죠.
오늘은 전기설계 전선의 규격선정에 대해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기준과 팁을 정리해드립니다.
전선 규격선정의 모든 것
1. 기본 개념부터 정리해요
전선의 규격, 흔히 **전선의 단면적(mm²)**을 말합니다.
이 숫자는 전선이 얼마나 많은 전류를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지를 의미하죠.
전류(Ampere): 흐르는 전기의 양
전선 길이(m): 길어질수록 전압강하 고려 필요
부하의 종류: 전동기, 조명, 콘센트 등에 따라 요구조건이 다름
설치 장소: 배관 내 설치인지, 덕트인지, 지중인지에 따라 허용전류가 달라져요
💡 팁: 항상 허용 전류와 전압강하를 동시에 고려하세요.
2. 전선 규격선정 공식과 기준
허용전류 기준 | 전선 규격별 허용 전류표 참고 (KS C IEC 60287 등) |
전압강하 기준 | 일반적으로 전체 전압의 2~5% 이내 |
전류 계산 | I = P / (V × 효율 × 역률) |
예시로 설명해볼게요.
부하: 10kW
전압: 220V
효율: 0.9, 역률: 0.8
👉 전류 I = 10,000 / (220 × 0.9 × 0.8) ≈ 63.3A
이제 이 전류를 바탕으로 전선 규격을 선정합니다.
63A 정도면 10mm² 이상이 되어야 안전합니다. (상황에 따라 더 여유있게 잡기도 해요)
3. 실무 팁 – 자주 쓰는 규격 조합
~15A | 2.5mm² | 일반 조명, 소형 콘센트 |
~30A | 4mm² | 중형 콘센트, 에어컨 등 |
~50A | 6~10mm² | 소형 전동기 |
~100A | 22~38mm² | 배전반 급전, 대형 기기 |
⚠️ 단, 설치 조건(온도, 배관 내 다심 여부 등)에 따라 허용전류가 달라지므로 항상 표준 또는 계산기를 함께 활용하세요.
4. 전압강하 고려도 잊지 마세요
전선이 길어질수록 전압이 떨어져 장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전압강하 계산식은 아래와 같아요.
전압강하(V) = (2 × 전선길이 × 전류 × 저항률) / 전선 단면적
길이가 50m 이상이라면 반드시 전압강하를 계산하고, 필요한 경우 상위 규격의 전선을 사용하세요.
규격선정, 어렵지만 정답이 있어요
전기설계에서 전선 규격선정은 안전성과 효율성 모두에 직결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단순히 암기하거나 대충 맞춰서 끝내기보다,
전류, 거리, 조건을 정확히 고려해서 계산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오늘 알려드린 기준과 예시를 바탕으로, 전선 선택이 한결 쉬워졌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전압강하 계산기 활용법도 소개할게요. 😊
❓ Q&A – 전기설계 전선 규격선정에 대한 궁금증
Q1. 전선 규격은 왜 여유 있게 잡아야 하나요?
A. 부하 증가, 온도 상승, 설치 환경 등을 고려했을 때, 여유 있게 잡는 것이 장비 보호와 안전에 도움이 됩니다.
Q2. 단상과 삼상의 전선 선택 기준이 다를까요?
A. 네, 삼상은 전류가 나눠지기 때문에 같은 용량이라도 필요한 전선 크기가 다를 수 있어요. 전류 계산부터 다시 해야 합니다.
Q3. 알루미늄 전선과 동선은 차이가 있나요?
A. 알루미늄은 전기 저항이 높아 동선보다 큰 단면적이 필요해요. 동선보다 더 굵은 규격을 사용해야 동일한 전류를 흘릴 수 있어요.
Q4. 전압강하가 심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A. 기기 오작동, 수명 단축,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터류는 예민하니 주의하세요.
Q5. 전선 계산 앱이 있나요?
A. 네, '전기 계산기', 'Cable Sizing Calculator' 등 다양한 모바일 앱과 웹 툴이 있습니다. KS 또는 IEC 기준을 기반으로 작동하니 참고하세요.
'전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Y결선과 D결선 차이, 헷갈리지 말자! (0) | 2025.04.17 |
---|---|
🔌 상전압과 선간전압 차이, 진짜 뭐가 다른 걸까? (0) | 2025.04.17 |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신고기간, 납부기한, 방법 (0) | 2025.04.16 |
📘 KEC 제1편 공통사항 정리 (1) | 2025.04.15 |
KEC 규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0) | 2025.04.15 |